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인터뷰>안동대학교 신종화 교수

“생육제어기술, 환경제어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 개발 중요”

해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됐다. 키워드로 제시된 것이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 인공지능 등이다. 농업에 있어서도 이러한 시대의 흐름은 예외가 될 수 없다.

기존의 작물재배는 위에서 언급한 개념이 접목되어 미래의 농업이 발전될 것으로 생각된다.


안동대 신종화 교수는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 인공지능 등이 모두 접목된 것이 미래농업, 농업의 4차산업혁명을 이룬 것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농업에서의 주목적은 작물 생산이며, 농업인의 입장에서는 농산물생산을 통한 소득 창출이다”이라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나아가 지금의 생산체계에 도움이 되고 발전할 수 있는 기술의 선택적 적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기술이 도입되어야 되고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종화 교수는 스마트팜을 하겠다고 이웃농가에서 하는 스마트폰으로 온·습도를 모니터링하고 온실의 천창, 측창을 열고 닫고 하는 것만이 스마트팜, 나아가 4차산업혁명을 농업에 적용하는 예시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즉 본인의 상황에 맞추어 적합한 기술을 적용하여 농업에서의 궁극적인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행농업과 스마트농업의 차이

흔히 관행 농업과 스마트 농업을 구분지어 설명하려고 많은 애를 쓰고 있다. 과연 스마트 농업과 관행의 농업은 무엇이 다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사람의 체험 또는 체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뤄지던 농업이 센서의 계측과 연산장치 및 제어기를 통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어 발전하고 있다. 

흔히 스마트팜 하면 제일 먼저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농업인이 핸드폰을 손에 들고 자신의 농장을 감시하고, 환경을 모니터링하며 관수나 환기를 명령하는 그림을 떠올리곤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기술은 농민의 수고스러움을 줄일 수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만이 전부가 될 수는 없다.


신종화 교수는 “스마트농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작물을 잘 케어하고 농민의 소득을 올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작물의 생리에 대한 해석과 환경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반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내용들이 데이터화되고, 이러한 데이터가 작물재배에 적용되어 보다 체계화된 농업을 완성하는 것이 스마트 농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식물과 환경과의 관계 구명 등에 대한 부분은 각 연구기관에서 연구자들이 많은 부분을 담당해오고 있었다.


<팜앤마켓매거진 8월호 자세히 게재>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