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고들빼기 잿빛곰팡이병 灰色黴病, Gray mold

2025.03.21 15:19:15

산나물 병해<38> 왕고들빼기

학명 : Lactuca indica L.

 

증상

잎, 잎줄기, 꽃대, 꽃에 발생한다. 주로 상처 부위나 잎끝 등에서 시작하여 물에 데친 모양의 병무늬가 생기며 점차 안쪽으로 들어가 조직을 썩힌다.

병환부에는 잿빛 가루모양의 곰팡이가 생긴다. 병환부가 마르면 부정형의 대형 병반이 되어 말라 죽는다.

 

병원체 : Botrytis cinerea Pers.

진균계 > 자낭균문 > 두건버섯강 > 고무버섯목 > 균핵버섯과 > 포도송이균속Botrytis에 속한다.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포도송이 모양으로 분생포자경의 끝에 밀생하여 달려 있다.

분생포자경은 옅은 갈색이나 분생 포자는 무색, 단포의 공모양이다. 환경이 나빠지면 검은콩 껍질 모양의 얇은 균핵이 형성된다.

 

발생생태

시설재배에서 6월 하순~7월 초순에 발생이 시작된다. 그 후 기온이 올라가면 병 발생이 멈춘다.

이 병은 포화습도가 9시간 이상 지속될 때 발병하므로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한다.

생육기에 비가 지속되면 일반 노지재배에서도 발생한다. 노지재배의 경우, 봄, 가을철 기온의 일교차가 심해지고 식물체 위에 이슬 맺는 기간이 길어지면 병 발생이 증가한다. 저온성균으로 생육적온은 15~20℃이다.

 

방제 방법

•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모두 모아서 제거한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과 투광이 잘되도록 관리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재배한다.

• ‌등록된 전용 약제는 없다.

 

‌다음 호에서는 <왕고들빼기 흰가루병>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3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문윤기 농업연구사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팜앤마켓매거진 / 등록번호 : 서초 라 11657호 / 등록 2015년 10월 19일 / 발행·편집인 : 최서임 발행소: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14길 36 707호 한국농업트렌드연구소 인터넷신문 등록 서울, 아 04400 등록 2017년 3월 6일 대표전화 : 02-3280-1569 / 팩스 : 02-6008-3376 / 구독자센터 farm3280@naver.com 청소년 보호책임자 : 최서임 / 메일 : farmmarket2@gmail.com 팜앤마켓매거진(farm&market)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