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지상부 전체에 생기며 표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듯한 흰가루(분생포자)가 생겨 덮인다. 오래되면 병반 표면에 흑색 소립(자낭각)이 생긴다.
병원체 : Sphaerotheca fusca (Fr.)
S. Blumer
진균계 > 자낭균문 > 두건버섯강 > 흰가루병균목 > 흰가루병균과 > 실흰가루병균속Sphaerotheca에 속한다. 병원균은 자낭각, 자낭, 자낭포자(유성세대)와 분생포자(무성세대)를 형성한다.
자낭각은 공 모양이고 그 안의 자낭은 자루 모양이며 자낭포자는 무색, 단포, 계란 모양이다. 자낭각 안에는 자낭이 들어있으며 1개의 자낭 안에는 8개의 자낭포자가 들어있다.
분생포자(흰가루)는 막대기 모양의 분생포자경 위에 연쇄상으로 달려 있으며 분생포자의 모양은 무색, 단포, 나무통 모양이다.
발생생태
시설재배에서 6월 하순~7월 초순에 발생이 시작되며. 그 후에 더욱 진전된다. 이 병은 밤과 낮 기온의 차가 심할 때 발생이 많고 식물체 내 유황 성분이 부족하면 발병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균은 순활물기생균으로 인공배지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방제 방법
•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모두 모아서 제거한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과 투광이 잘되도록 관리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재배한다.
• 발병 초기에 등록 약제 디페노코나졸·피리오페논 액상수화제,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등 7종의 약제를 경엽에 살포한다.
다음 호에서는 <음나무 갈색무늬병>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4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