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자의 선호도 변화최근 핵가족화 등으로 인해 수박 소비 패턴도 기존 대형과(8∼10kg 이상) 중심의 소비에서 2∼3인 가족이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중·소형과(5∼6kg 이하) 소비로 변하고 있다.농촌진흥청의 소비자 패널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가 좋아하는 크기는 중·소형과가 72%, 대형과 28%로 나타나 대형과 보다는 중·소형과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소과형 수박은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이 적을 뿐 아니라 1회에 다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기존 큰 수박의 경우 높은 가격과 부담스러운 무게, 크기 등으로 인해 점차 작은 수박을 많이 찾고 있다.충북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정택구 팀장은 “최근 몇 년 전부터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는 조각 수박과,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프레시컷, 주스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도매시장이나 산지에서는 대형과 위주로 유통되고, 중·소형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생산자 입장에서는 중·소형과 생산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자와 유통업자 모두 한 뜻을 모아 소비자 소비 변화에 맞는 농산물을 출하할 때 소비는 더 확대될
국내 화훼 생산구조는 관상수류, 절화류, 분화류 등으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 도시근교의 공원화 사업에 의한 화단용 초화류 생산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까지는 국내 시판되는 꽃의 대부분은 장미, 백합, 국화, 난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특히 국내 꽃 소비는 웨딩, 졸업, 승진 및 장례 등 경·조사 위주가 대부분이고, 가정·사무실 등 생활 속의 소비는 극히 부진한 편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쉽게 꽃을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재 발굴과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매발톱꽃은 우리나라 한라산 북부지방의 심산지역 산지의 골짜기에 걸쳐 자라는 다년초이며, 꽃잎 뒤쪽에 있는 꽃뿔이라고 하는 꿀주머니가 매의 발톱처럼 안으로 굽은 모양이어서 매발톱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생육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꽃 색깔이 예쁘고, 모양이 특이하여 원예적으로 개발가치가 높다.충청북도농업기술원(원장 차선세)은 1999년부터 야생화 매발톱꽃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유전자원을 수집하고 육종연구를 시작했다. 2014년에는 ‘소망’과 ‘수피아’ 품종을 개발하여 국립종자원에 등록하고 농가 보급을 위해 통상실시를 한 바 있다. ‘소망’은 짙은 자주색과 노란색의
고기맛, 인삼맛, 나물맛 등 3가지 맛을 낸다하여 삼나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른봄부터 눈속에서 자라기 시작한 어린 새싹을 채취하여 삶아서 말린 알칼리성 산채이다. 쫄깃한 질감이 있으면서 고소한 맛이 나므로 소비자 기호성이 좋은 나물이다.재배기술마. 정식본밭에 심는 간격은 장기적으로는 60× 30cm 간격으로 심는 것이 좋으나 이렇게 넓게 심으면 1~2년차에 제초량이 늘어나게 되므로 40×30cm 정도로 심는 것이 적당하다. 심기 전 에는 겨울에 추비로 퇴비를 농기계 등으로 줄 수 있도록 출입 통로를 남겨 놓는 것이 좋다.심는 시기는 재배지가 그늘진 곳이면 활착이 잘 되므로 포트묘를 만들어 두었다가 봄 식재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건조하고 일사량이 많은 곳이면 묘를 충분히 키워 가을 식재하는 것이 좋다. 1년간 육묘하여 이듬해 봄에 정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쉬운 방법이다.어린묘를 심었을 때에는 관수, 제초에 신경을 써야 하므로 반드시 심기 전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조건 불리 지역에서는 어린묘를 봄 정식하는 경우에 고사율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가을 식재묘는 4월부터 8월까지 육묘 후 8월 하순부터 9월 상순 사이에 본밭에 정식하는 방법이며 활착률이
올 봄에는 너도 나도 모두 튤립처럼 향기롭고 행복했으면 한다. 사람과 꽃과의 깊은 관계를 나타내는 꽃 가운데 단언컨대 튤립이다. 황색 튤립의 꽃말은 ‘아름다운 눈동자’, 보라색은 ‘영원한 애정’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박애·명성·사랑의 고백·실연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는 튤립은 매년 신품종이 개발되어 있다. 중국 진나라 때 좌귀빈이라는 시인은 튤립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중국에서는 튤립을 郁金香이라고 함) “伊有奇草名曰郁金越自殊域厥珍來尋, 芳香酷烈悅目怡心 明德惟馨淑人是欽” (중국 강남성·북건성에) 진귀한 풀이 있어 이름을 郁金香이라 했다. 월나라에서 일부러 그 꽃을 보러 오는 사람들도 있다. 그 꽃의 방향이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히고 눈에도 매우 좋다고 사람들은 믿고 있다. 튤립의 향기와 좋은 냄새, 색깔은 사람의 기를 부드럽게 만들고 짜증을 가라앉히며 눈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 특히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고 힘을 주는 색깔은 황색이나 흰색, 연한 핑크계통 튤립이 좋다. 봄이 오는 길목에서 사무실, 집안에 튤립을 듬뿍 장식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사진 촬영은 충남 아산 배방면 지역에서 튤립 재배하는 이종대 대표의 농장에서 진행했다.) &l
최근 촉성 재배용 설향 품종의 농가 보급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과거 육보 품종을 중심으로 한 반촉성 작형에서 촉성 작형으로 빠르게 전환 되고 있다. 이러한 신품종의 보급 및 작형의 변화로 인해 육묘 방식도 노지 육묘에서 비가림 포트 육묘 방식으로 전환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육묘 방법이 체계화 되어 있지 못하고 농가 간에 기술 격차도 큰 실정이다. 딸기 재배는 육묘가 대부분이라고 할 만큼 우량묘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생산성의 대부분이 육묘기 묘소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여러 육묘 방식 중 비가림 포트 육묘 방법은 균일하고 우량한 정식묘를 조기에 확보할 수 있으며 여름철 강우를 회피하여 탄저병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근권이 잘 발달되어 본포에 정식할 때 활착이 유리하고 화아 분화가 노지육묘에 비해 10일 이상 촉진되어 겨울철 수확량이 증가하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육묘기 악성 노동력을 경감하고 우량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고설 포트 육묘가 권장된다. 딸기 육묘기 주요 작업 일정딸기 육묘는 모주(어미묘)의 관리까지 포함하면 9개월 이상 소요되며 생산성이 높은 우량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기술이 필요하다. 딸기 수확 시기와 맞물려 모주 관리가
산채 재배기술이 발달하면서 공급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인의 식습관은 고칼로리 식품섭취에 의한 성인병, 비만 등 영양의 불균형, 공해문제, 식품오염 등 사회적 문제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산채는 이러한 농식품소비 트렌드의 대안으로 관심증가 뿐만 아니라 미네랄 등 무기영양, 면역 활성 물질의 공급원으로 인식되고 있어 향후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트렌드에 부합한 산채 눈개승마(삼나물)도 친환경재배로 안전성을 갖춘 농산물로 재배하여 공급한다면 이른 봄 우리의 입맛을 돋우는 청정·자연식품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널리 받을 수 있을 것이다.성상눈개승마는 장미과(Rosacea) 식물이며 영명은 염소수염 같다하여 Goat's-beard이다. 학명은 Aruncus dioicus var. Ramtschaticus. HARA이며 중국명으로는 죽토자(竹土子)라고도 한다.고산지대 및 울릉도에서 자라며 높이 30~100cm까지 자란다. 근경은 목질화되어 굵어지며 떨어지는 인편이 밑 부분에 몇 개 붙어 있다. 잎은 2~3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좁은 난형 또는 난상원형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결각과 톱니가 있다. 또
빨강, 분홍, 노랑, 보라 등 아름답고 선명한 꽃 색깔과 모양에 진한 향기가 매력적인 카틀레야. 꽃말은 '당신은 아름답습니다, 우아한 여인'이다.귀족적이고 우아한‘난의 여왕’카틀레야가 나를 향해 '당신은 아름답습니다'한다면 오늘 하루도 행복해지지 않을까?카틀레야(Cattleya)는 양란 중에서도 여왕의 품격을 지니고 있어 '난의 여왕'이라 불리며 한 송이만으로도 우아하고 화려한 용태를 자랑하는 꽃이다. 카틀레야는 약 300여 종의 원종이 알려져 있는데 주로 브라질을 중심으로 중남미의 열대, 아열대 지역의 공중습도가 높은 지역에 자생하고 있다.일반적으로 뿌리는 나뭇가지나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 습성이 있다.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처음으로 육종이 시작됐고 이를 기초로 지난 200여 연간 수많은 품종이 개량됐다.브라사볼라(Brassavola), 라일리아(Laelia), 소프로니티스(Sophronitis) 등간의 속간교배로 더욱 다양하고 매력적인 모양과 색을 가지게 됐다. 또한 향기가 좋은 품종도 많이 있어 그 매력을 더하고 있다.카틀레야 재배에 가장 이상적인 온도는 주간온도 20~25℃, 야간온도 15℃ 정도이며 겨울철에는 최저온도로 13℃이상 관리하는 것이 안
굿바이 12월, 그 흔한 유행가요에 위로를 받으며 순정을 다 받쳐 사랑했던 시간이었다. 하얀 겨울이 오는 길목에서 단아하면서 순백의 세련된 칼라꽃을 만날 수 있다면...... "당신은 나의 행운입니다"라고 고백해도 좋은 당신의 계절이 되시길 응원할 것이다. 화가와 사진작가들이 사랑한 칼라 초겨울 시작과 함께 따뜻한 마음이 그리워지는 12월에는 연인들의 사랑의 메신저 '칼라'가 떠오른다. 칼라(calla)의 꽃 이름은 그리스어 '아름답다'에서 유래됐다. 학명 잔테데스키아 에티오피카(Zantedeschia aethiopica)는 이탈리아계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조반니 잔테데스키(1773~1846)의 이름에서, 에티오피카는 에티오피아란 이름에서 딴 것이다. 칼라는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1687년에 처음 잔테데스키아 속으로 기록 됐고, 언제 유럽에서 심겨졌는지는 불확실하지만 1664년에 파리의 황실 정원에서 그린 삽화로 보아 그 당시 유럽에서 자랐던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시대에는 결혼식과 장례식, 유럽의 모든 축제에서 쓰였고, 고대 로마시대에는 축하용 꽃으로 활용됐다.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집 문 바로 안쪽에 칼라를 심었고 그 꽃을 귀히 여겨서 종종 꽃봉오리의 테두리
다이어트 단감, 피로 해소하는 최고의 맛 단감은 100g당 열량이 44kcal이며 수분 함량은 85.5%이다. 단백질 함량은 0.5g이며 탄수화물은 13.5g, 식이섬유는 2.5g, 칼슘 8mg, 인 18mg, 칼륨 149mg, 나트륨 2mg이다. 또 비타민 A는 23mg, 비타민 B1은 0.03mg, 비타민 B2는 0.03mg, 니아신은 0.3mg, 비타민 C가 50mg이다. 이와 같이 단감의 영양성분은 100g당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최고의 과일이다. 단감은 타닌 성분이 풍부하여 과음 후 두통과 속 쓰림 해결에 탁월하다. 베타카로틴은 항암, 항산화작용에 도움 되며 비타민C는 감기 예방에 도움 된다. 건강지킴이 사과, 먹을수록 건강미인 알칼리성 식품인 사과는 먹을수록 건강해진다. 식유섬유가 많고 유익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사과에 함유된 비타민과 유기산이 피로 해소에 도움 되며 빈혈 예방에도 도움 된다. 또 나트륨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혈압 예방에도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과 한 알은 100kcal이며 지방 분해효과가 있다. 면역력을 높여주는 사과는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노화를 예방하며 하얀 피부를 만들어준다. 천연소화제
늦가을에는 하루쯤 영화처럼 보내도 좋을 듯하다. 그만큼 감성을 즐기기에 충분히 좋은 계절이다. 아름다운 꽃 중에 서정 꽃이라고 불려도 될 만큼 꽃다발과 신부화로 인기 있는 라넌큘러스와 함께한다면 더 낭만적인 가을날이 될 것이다. 가을의 끝자락과 겨울의 문턱에 들어서는 11월에는 사랑의 언약을 상징하고 낭만을 전하는 아름답고 매혹적인 꽃‘라넌큘러스’가 단언컨대 매력적이다. 이 꽃은 2014년도에 농림식품부와 농촌진흥청에서 12월의 꽃으로 지정한바 있고 최근 들어 소비가 부쩍 늘어나는 인기 있는 꽃이다. 라넌큘러스(Ranunculus)의 꽃 이름은 라틴어'Rana'에서 유래되었는데 개구리라는 뜻이다. 꽃이 습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특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라넌큘러스는 터키에서 16세기경에 서유럽으로 건너온 후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일본 등으로 전파됐고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처음으로 육종이 시작되면서 미국과 일본에서도 많은 품종이 개량되어 최근에는 다양한 색과 모양의 꽃들이 시판되고 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알뿌리식물로 전 세계적으로 400여종의 야생종이 광범위하게 분포되고 우리나라에도 여러 종이 자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되는 꽃은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