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부터 2018년 8월까지 농협은행의 당기순이익은 580억 원, 6,513억 원, 6,657억 원으로 증가했고, 부실채권 대손충당금도 15,332억 원, 16,631억 원, 18,675억 원으로 증가세를 보이지만, 국제회계 규정 바젤3(IFRS9) 적용을 이유로 대손충당금을 적게 쌓아 당기순이익을 늘린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평화당 박주현 의원이 농협은행이 제출한 국민, 신한,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을 비교한 ‘은행별 적립금 및 적립비율’을 조사한 결과, 농협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 타 은행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손충당금은 은행이 고객에게 빌려준 자산 중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을 설정한 계정으로 적립비율이 높을수록 손실 흡수 능력이 크기 때문에, 금감원은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100% 이상으로 충족을 권고한다.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보면 2015년 타 은행 평균 80%, 농협은행 50%이었다가, 2018년 8월 타 은행 평균 124%, 농협은행 81%를 보였다. 자산건전성 분류상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인 고정이하금액에서 2018년 8월, 타 은행 평균 13,175억 원, 농협은행 22,946억 원으로 부실채권금액도 약 1조 원가량 농협은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협은행은 2018년부터 1월부터 바젤3(IFRS9)을 적용하여 대손충당금을 쌓는다. IFRS9은 부도율, 담보율, 회수가치 등 차주 개인별 신용도를 고려하여 부실 여부를 결정하므로, 기존 금감원 자산건전성 기준에 따른 일률적 대손충당금보다 적은 금액을 충당할 수 있다.
농협은행은 금감원 자산건전성 기준과 바젤3(IFRS9) 대손충당금 사이의 차이를 대손준비금으로 보전하는데, 대손준비금은 자본으로 편입된다. 타 은행은 대손충당금을 더 쌓는 구조로 부실에 대비하고 있으나, 농협은행은 대손충당금을 덜 쌓고 있다.
박주현 의원은 “농협은행이 새로운 국제회계기준 바젤3(IFRS9)에 따라 이전보다 적은 대손충당금을 쌓는 것은 영업 전략일 수 있다”라며, “그러나, STX 조선해양, 리솜리조트, 대우조선해양 등에서 부실이 나면서 은행이 적자를 냈던 것이 불과 1~2년 전이니만큼, 순이익을 늘려 경영실적을 높이기보다는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 당기순이익이 줄더라도 불확실한 금융시장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박 의원은 “농협은행은 농가경영지원 사업 등 농업정책지원을 도맡아 하는 농민을 위한 은행이므로 정부와 금융위 등의 외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농민을 대변해야 마땅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