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음나무 더뎅이병瘡痂病, Scab 증상 잎, 가지 등에 발생한다. 병든 잎은 심하게 뒤틀리거나 오그라들면서 기형이 되고 나무 전체가 위축되고 생장이 정지된다. 가지에는 방추형 내지는 불규칙한 다소 융기된 연한 갈색의 더뎅이가 생긴다. 병원체 : Elsinoe araliae (Miq.) Seemann (무성세대 : Sphaceloma araliae Jenkins) 진균계 > 자낭균문 > 좌낭균강 > 홑자낭좌실균목 > 딱지주머니균과 > 딱지주머니균속Elsinoe에 속한다. 유성세대는 진균 중 자낭균에 속하며 구형의 자낭각과 자낭, 그리고 땅콩모양의 한 개의 격막이 있는 자낭포자를 만든다. 무성세대에는 무색, 단포, 단간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발생생태 봄철 잎이 피어나면서 잎, 잎자루, 연한 어린 가지 등에 발생한다. 병반은 오래 되면 갈라 터지며 구멍이 난다. 잎자루와 연한 어린 가지에는 지름 1~2㎜ 되는 원형, 타원형의 함몰된 담갈색 반점들이 나타나며, 확대되면서 융합하여 코르크화된 담갈색의 기다란 병반이 된다. 병원균은 자낭각 혹은 균사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이나 식물체의
균핵병 菌核病, Sclerotinia rot 증상 주로 뿌리와 뿌리부근의 지제부에 하얀 균사로 발생하여 병이 경과함에 따라 작고 검은 균핵을 형성하며, 뿌리를 썩히면서 고사시킨다. 병원체 : Sclerotinia sp. 진균계 > 자낭균문 > 두건버섯강 > 고무버섯목 > 균핵버섯과 > 균핵버섯속Sclerotinia에 속한다. 대표적인 토양서식균으로 분생포자는 만들지 않는다. 균사가 뭉쳐 쥐똥 같은 검은색의 균핵을 형성한다. 균핵의 크기는 2∼7mm이고, 큰 것도 있으나, 대부분 크기와 모양은 불규칙하다. 균사 생육 적온은 22~25℃이다. 발생생태 4월 하순~6월 하순에 많이 발생한다. 봄과 가을에 자낭반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자낭포자가 공기 중으로 날아가서 흩어져 병이 확대된다. 병원균은 균핵의 형태로 토양 속에서 월동하거나 균사의 형태로 병든 땅가 줄기 혹은 지하부 뿌리에 묻어 있다가 다음 해의 전염원이 된다. 균핵은 기주작물이 없어도 부적합한 환경에서 수년간 생존이 가능하다. 균사의 생육이 매우 빨라 주로 균사를 통해 인접한 작물로 확산하여 토양 전염하는 병해다. 방제 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 땅속 깊이 파묻는다. • 병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증상 잎에 크고 작은 원형의 암갈색 무늬가 생겨 확대하며 종종 겹둥근무늬를 만든다. 병반은 서로 합쳐져 큰 병반이 되며 잎은 황화하고 점차 말라 죽어 낙엽이 된다. 해마다 발생하며 특히 비가 많은 해에는 피해가 크다. 병원체 : Phoma S. sp. 진균계 자낭균문 > 좌낭균강 > 얇은공버섯목 > 작은쌍포자균과 > 반점균속Phoma에 속한다. 병원균은 분생포자각과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분생포자각은 흑색의 소립모양이고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 단간형이다. 분생포자각은 생육 후기에 오래된 병반의 표면에 형성되는데 발견하기 어렵다. 분생포자는 분생포자각 안에 무수히 들어 있으며 그 크기는 2.0~2.4×5.0~6.0㎛이다. 발생생태 6월 중순경부터 발생하여 10월까지 발병이 이어지고, 특히 8월∼9월에 급격히 심해지며 이때의 병반면적율이 60~70% 정도 발생할 때도 있다. 자생지, 재배지를 불문하고 발생이 심하다. 분생포자가 바람에 의해 전반하여 발생한다. 음나무 재배지의 어느 곳에서든지 볼 수 있는 흔한 병이지만 심하면 잎이 모두 일찍 낙엽되므로 줄기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경우도 종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