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박이응애 3 ㅣ 잎응애과 Tetranychidae 학명 Tetranychus urticae Koch 영명 Two-spotted spider mite *이 기사는 월간<팜앤마켓매거진>2024년 12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잎응애과 Tetranychidae 학명 Tetranychus urticae Koch 영명 Two-spotted spider mite 피해와 진단 - 사과나무 외에도 배나무의 주요 해충이며, 옥수수·콩 등 전작물과 채소, 화훼, 잡초 등도 가해하여 기주범위가 매우 넓다. - 5월부터 10월에 걸쳐 주로 잎 뒷면에서 구침(주둥이)을 세포 속에 찔러 넣고 엽록소 등 내용물을 흡즙하므로 피해가 상당히 진전된 후에야 육안으로 구분이 된다. - 사과나무 피해 잎은 황갈색으로 변색되어 광합성 및 증산작용이 저하되며, 심하면 8월 이후에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의 비대·착색·꽃눈형성 저하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일부가 수확 전에 과실의 꽃받침 부위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점박이응애의 과실 부착은 사과 수출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발생생태 - 등황색의 교미한 암컷성충으로 주간부의 거친껍질 틈새나 지면의 낙엽 및 잡초에서 주로 월동한다. - 겨울 중 많은 월동성충이 사망하고, 이른 봄에 생존한 월동성충이 잡초로 옮겨가 가해하면 등쪽 양편에 검은 반문이 있는 여름형으로 바뀌면서 약 20여일 동안 40여개를 산란한다. 이후 세대부터는 30여일 동안에 약 100개 정도를
후기 병징 병반이 오래되면 병반부가 쭈글해지면서 찌그러들기도 하고 병원균에 따라 병반부에 다량의 병포자를 형성하기도 한다. 다음 호에서는 <겹무늬썩음병 4>에 대해 연재한다.
초기 병징 과점을 중심으로 갈변된 병반부가 점점 확대되면서 둥근 테두리를 형성한다. 중기 병징 9월경 병반이 확대되면 둥근 띠 모양으로 테가 생긴다. 병반의 겉표면은 움푹 들어가지 않고 과실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 병과를 자른 단면은 불규칙한 모양으로 썩었다. 후기 병징 10월경 병반이 확대되면 둥근 띠 모양으로 테가 생긴다. 다음 호에서는 <겹무늬썩음병 3>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켓매거진 2024년 5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병징과 진단 과실에서 발병은 일소 피해를 입은 일부 과실에서 7월 하순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9월 하순 이후에 많이 발생하며, 초기에 발병된 과실에서는 병반상에 흑색 소립이 밀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은 내부에 많은 병원균 포자를 형성하여 2차 전염원이 되어 가지나 줄기에 침입한다. 최초의 병징은 과점을 중심으로 갈색의 작고 둥근 반점이 생기는데, 이 반점의 주위는 붉게 착색되어 눈에 잘 띈다. 병반이 확대되면 둥근 띠 모양으로 테가 생기지만 띠 모양이 확실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과실이 썩으면서 색깔이 검게 변하는 것도 있다. 과실을 잘랐을 때 썩는 부위가 연한 갈색 혹은 짙은 갈색으로 불규칙하게 썩으며, 이런 증상은 V자 모양을 띄며 씨방 쪽으로 썩어 들어가는 탄저병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가지에서의 병반은 사마귀를 형성하는 것과 사마귀를 형성하지 않고 조피증상을 나타내는 것, 검붉은색의 암종을 형성하는 것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발생생태 세계 각지에서 사과나무, 배나무 등 20과 34속 식물에서 발견되며 비교적 온난하고 다습한 지방에서 많이 발생한다. 다음 호에서는 <겹무늬썩음병 2>에 대해 연재한다. *
다음 호에서는 <겹무늬썩음병>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3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중기 병징 8월경 병반이 진전되면 병반부가 함몰되고 그 위에 끈적한 담홍색의 포자덩어리가 생긴다. 후기 병징 가을에 착색이 되어도 더 이상 썩지 않고, 작은 반점으로 남아 있기도 한다. 소형 반점 상태의 병반에서도 포자가 형성되어 전파되므로 발견 즉시 제거해야 한다. ‘홍로’에 발생한 탄저병 ‘홍로’ 탄저병에 감수성 품종이다. ‘후지’보다 ‘홍로’가 특히 탄저병에 약한 이유는 과실 껍질의 두께 차이에 기인한다. 탄저병균은 과실 껍질을 직접 뚫고 침입하므로 표피가 얇은 홍로에서 많이 발생한다. 8월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방제약제를 제대로 살포하지 않으면 짧은 시간에 다발생 할 수 있다. 사과나무 상단부에 병든 과실을 제거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2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