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다래의 생산․출하구조 변화 2015년 참다래의 국내 생산량은 25,132톤으로 2000년(13,825톤)의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그러나 같은 기간 참다래의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317.6g에서 2015년 814.0g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국내생산량 증가율이 소비량 증가율을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16년도 노지 참다래의 10a당 농가소득은 약 350만원으로 2015년(약 310만원)보다 13.9% 증가했다. 노지 참다래의 농가소득은 포도와 복숭아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농가소득이 증가한 것은 총수입의 증가(4.6% 증가)와 경영비가 절감(8.9% 절감)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공영도매시장으로 유통되는 농산물의 약 35%를 점유하는 가락시장에는 매월 균일하게 참다래가 반입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높은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참다래의 소비특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2016년 전국 소비자 600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간의 참다래의 구매동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참다래의 구입량이 1년 전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26.3%로, 구입량이 ‘늘어났다’는 응답 4.8%보다 많
단감의 생산․출하구조 변화 2015년 감 생산액은 5,706억원으로 사과와 감귤 다음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과일이다. 이중 단감 생산액은 2,991억원으로 전체 감 생산액의 약 52%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15년 단감의 재배면적은 2000년 23,816ha의 약 50% 이하 수준인 11,849ha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단감 생산량은 단수의 증가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덜하다. 단감의 생산량은 2000년 227,394톤에서 2015년에는 173,971톤으로 약 25% 감소하는데 그쳤다. 농가의 재배규모는 0.5ha미만의 농가가 약 84%를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영세하며, 이러한 영세농가에 의한 단감재배면적 감소율이 심각한 경향이다. 반면 1ha 이상의 재배규모를 가지는 농가는 상대적으로 재배면적 감소율이 낮다. 이러한 경향으로 볼 때 단감생산농가의 규모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단감의 품종별 재배면적의 구성은 조생종이 5%(이중 서촌조생이 3.5%), 중생종이 1%, 만생종이 94%(부유 82.7%, 차랑 9.7%)로 대부분 만생종에 편중되어 있다. 이처럼 재배품종의 편중이 심한 것은 부업적인 재배특성을 가지는 단감의
우리나라의 1인당 포도 소비량은 2000년 10.3kg을 감소세로 돌아서 2015년에는 6.4kg으로 감소했다. 특히 수입량 증가와 더불어 재배면적은 2000년 약 29천만ha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5년에는 15천만ha까지 감소했다. 한편, 포도는 조기수확을 위한 하우스 재배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노지나 비가림 재배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월별 가락시장의 포도 반입비율은 8월~10월이 연간 반입량의 668.%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7월은 칠레산 포도의 수입시즌으로, 주로 청포도(55%), 적포도(30%), 거봉(15%) 등이 수입되고 있다. 수입포도 중에서도 씨 없는 포도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씨 없는 청포도와 적포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다. 월평균 가격은 수입포도의 반입량이 많은 시기가 국산포도의 출하량이 많은 시기보다 상대적은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소매점에서는 캠벨과 거봉, MBA와 델라웨어를 가장 많이 취급하고 있다. 거봉 취급량은 늘어났으나 캠벨과 MBA, 델라웨어는 취급량이 줄어들었다고 응답하는 소매점이 대부분이다. 포도의 소비 특성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2016년 전국 소비자 6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생산·출하구조 변화 우리나라의 1인당 복숭아 소비량은 2008년 3.9kg에서 2015년 4.7kg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재배면적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17년 전국의 복숭아 재배면적은 20,578ha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유모계 복숭아의 면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 동안 42%P가 증가하했고, 전체 복숭아 면적의 83%를 차지한다. 이에 반해 천도계 복숭아의 재배면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 동안 24%P증가했고, 전체 복숭아 면적의 17%를 차지한다. 통계청의 농림어업총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복숭아 농가의 품종별 도입비중은 조생종 4.0%, 중생종 33.9%, 만생종 35.3%, 기타 품종 26.7%이다. 특히 2015년과 2010년을 비교하면, 만생종이 감소하고 기타 품종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조생종을 도입한 농가는 월봉조생>창방조생>미홍조생 순으로 많다. 또한 중생종을 도입한 농가는 황도>천황>미백>기도백도>월미복숭아>신백도>백봉>대구보>수홍 순으로 많다. 만생종을 도입한 농가는 백도>천중도백도>유명>레드골드>
수박의 생산과 소비구조 변화 우리나라의 수박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15년 전국의 수박 재배면적은 15,185ha이었다. 수박의 재배면적은 시설재배와 노지재배가 약 8:2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 재배지역은 2015년 충남과 경남지역이 전체 수박 생산면적의 52%를 차지하고, 여기에 전남과 경북을 합치면 전체 재배면적의 약 81%가 생산되고 있다. 다만 충남과 경남은 시설수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전북지역과 경북지역은 노지수박의 주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기사는 <팜&마켓맷거진 6월호에 자세히 게재>
팜마켓매거진 5월호 게재 참외의 생산·소비구조 변화 우리나라의 참외 재배면적은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왔으며 2015년 전국의 참외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0.9% 감소한 5,438ha이었다. 재배 작형도 1989년 시설재배가 노지재배면적을 앞서기 시작하여 2015년 현재에는 시설재배가 전체 재배면적의 약 98%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재배지역도 2015년 기준 대구를 포함한 경북지역의 재배면적이 약 91%로 절대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가락시장을 기준으로 월별 참외 반입량을 살펴보면 3월부터 8월까지 약 6개월간 반입됐다. 특히 5월과 6월에 연간 반입량의 57.6%가 집중된다. 평균단가는 1월부터 4월까지는 높은 가격을 유지하다가 5월부터 급격히 가격이 하락한다. 이는 5월 고온기에 접어들면서 2화방 출하에 따른 물량 증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국 도매시장의 경매사를 대상으로 참외산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별 우선 순위를 알아본 결과 당도 육질 선도 경도 색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선 참외는 골이 선명하고 붉은 빛이 도는 노란색 참외를 최상품으로 인식하는 경향이다. 경도는 손으로 만졌을 때 단단한 느낌을
우리나라의 딸기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으며 2013년 이후 정체경향에 있다. 한편 가락시장을 기준으로 월별 딸기 반입량을 살펴보면 11월부터 익년 5월까지 약 6개월간 반입되고 있다. 특히 3월과 4월에 연간 반입량의 50.6%가 집중된다. 딸기의 주요 생산지역은 충남과 경남지역이 각각 전국 딸기 생산면적의 29.7%와 35.6%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한편 전남지역의 딸기 생산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1990년도의 1/3수준으로 까지 감소했다. 이에 반해 경북과 경기지역의 생산량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한편 재배형태는 시설재배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가령 1990년대 전체 딸기 재배면적 중에서 노지재배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31.2%였으나 2015년에는 1.51%로 급감했다. 딸기 농가소득은 2005년 기준 10a당 시설딸기(촉성)가 약 692만원이었으나 2015년에는 1,169만원으로 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농가소득에 기여한 측면은 단수증가 보다는 단가상승에 따른 영향이 더 크다. 한편 1990년대 이후 딸기 품종은 여봉 → 육보 →장희 → 설향 중심으로 변화되어 왔다. 2014년 이후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죽향’이 증가
우리나라의 배 재배면적은 2000년 약 2만6천ha를 정점으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6년에는 약 1만1천ha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생산량도 2000년 32만4천톤에서 2016년 23만8천톤으로 감소했다. 배 주산지도 중부․영남지역에서 서해안지역으로 변화되는 양상이다. 2000년 기준 지역별 생산비중은 영남(29.6%)>충청(27.3%)>호남(23.3)%>경기(17.4%)>강원(2.5%)순이었으나, 2016년에는 호남(28.9%)>충청(25.0%)>영남(23.0%)>경기(21.7%)>강원(1.6%)순으로 바뀌었다. 또한 배의 1인당 연간 소비량은 2008년 9.2kg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6년 4.5kg까지 감소했다. 전체 과일 소비량에서 배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8년 14.0%에서 2016년 7.2%로 크게 감소했다. 한편 배의 도매가격은 신고 15kg 중품기준으로 2016년 37,524원이었으며,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배는 추석(9월)과 설(1~2월)에 전체 배 생산량의 50%가 거래될 정도로, 시기별 편중이 심각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사회․문화 환경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