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1980년 후반부터 이상한 풀이 경기 파주, 의정부, 연천지역에서 발생이 많아 ‘워카풀’이라고도 불리운 단풍잎돼지풀은 돼지풀과 같이 국화과 일년생잡초로 종자로 번식한다. 학명에서 단풍잎돼지풀의 속명은 돼지풀과 같고 종소명種小名 trifida는 ‘셋으로 갈라진’ 또는 ‘삼중열三中裂의’라는 뜻으로 단풍나무 잎처럼 3~5개로 깊게 갈라져 붙여진 이름이다 단풍잎돼지풀도 종자로 번식하는 일년생 잡초임에도 불구하고 1년에 3m이상 자란다. 또 많은 가지를 치고 잎이나 줄기에 거친 털이 있다. 종자는 휴면성休眠性이 있어 겨울동안에 흙 속에 묻어주면 휴면에서 깨어난다. 발아에는 20/30℃ 변온조건에서 잘하며, 발아심도는 2cm이나 16cm 깊이에서도 발아하여 생존력이 뛰어나다. 흙 속에서 종자수명은 21년이나 된다. 단풍잎돼지풀 종자도 새부리모양으로 물에 떠다니면서 확산되고 있다. 단풍잎돼지풀도 돼지풀과 마찬가지로 왕성한 번식력으로 전국 각지에 급속하게 퍼져나가 2001년에 환경부에서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또 7∼9월에 꽃이 필 때 날리는 꽃가루가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일으켜 비염이나 심하면 천식까지 유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돼지풀의 속명屬名인 Ambrosia는 ‘신이 먹는 음식물’이라는 뜻의 라틴어 ‘Ambrotos’에서 나온 단어이다. 이 식물을 먹으면 불로不老, 불사不死, 장수長壽 한다는 것이다.종소명種小名은 그리스 신화의 수렵의 여신 ‘Artemis’와 잎을 뜻하는 라틴어 ‘Folium’으로 된 합성어로 쑥속식물Artemisia L.의 ‘잎과 닮은’이라는 뜻이다. 즉, 이 식물의 잎이 쑥과 같이 깊이 찢어져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우리말 이름 돼지풀은 영명英名 hogweed에서 온 이름이다. 돼지풀은 국화과 일년생 잡초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돼지풀은 많은 양의 종자를 생산한다. 일반적으로 1주당 3,000립에서 많게는 32,000립까지 생산되어 도처에 확산된다. 돼지풀 종자는 발아에 필요한 적당한 온도 조건(10/30℃)이 맞지 않으면 휴면상태를 유지하는데, 길게는 40년 이상 지속된다. 토양에서 발생하는 깊이는 2.5∼15.5cm로 다양하다. 종자는 부리 모양의 가시돌기가 있어 큰물에 떠다니면서 잘 전파된다.돼지풀은 8∼9월에 개화할 때 다량의 꽃가루가 날려 사람에게 화분병花粉病을 일으킨다. 특히 돼지풀의 수꽃은 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