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韓日 유통비용률 비교...합리적인 농산물 유통구조 모색 필요
최근 일본의 정부 통계 포털 사이트에 ‘2022년도 식품유통단계별 가격형성 조사 결과’가 업데이트됐다. 해당 조사는 2019년까지 2년마다 갱신됐던 자료이지만, 이번 업데이트는 5년만이다. 일본의 식품유통단계별 가격형성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매년 실시되는 유통비용률 조사 결과와 유사하다. 일본의 식품유통단계별 가격형성 조사 결과는 청과물 16개 품목(채소 14개, 과일 2개)에 대한 100kg당 유통경비를 산출하고 있으며, △집출하단체경비, △도매경비(수수료), △중도매경비, △소매경비의 4단계의 유통단계를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산물 유통단계별 유통비용률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일본 식품 유통단계별 가격형성 조사 결과를 설명하면, 출하 단계에 해당하는 ‘집출하단체경비’는 생산자가 출하 단체에 지불하는 수수료와 선별, 포장 기자재 등의 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도매단계에 해당하는 것이 ‘도매경비’와 ‘중도매경비’이다. 우리나라는 도매법인의 위탁수수료와 중도매인의 판매이윤 등을 합산하고 있는 반면, 일본에서는 도매법인의 위탁수수료와 중도매인의 판매이윤을 구분하여 산출하고 있다. 소매단계에 해당하는 ‘소매경비’에서는 소매업자의 이윤을 의미한다
- 한국농산물유통산업협회 최현식 박사
- 2024-10-23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