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오이는 박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인도,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뱀오이는 덩굴성 식물이므로 덕이나 망 등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것이 좋다. 뱀오이 재배에 영향을 주는 해충으로는 오이과실파리, 아메리카잎굴파리, 목화진딧물, 목화바둑명나방, 오이금무늬밤나방, 담배가루이,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Chrotogonus trachypterus, Aulacophora foveicolis, 점박이응애, 뿌리혹선충 등이 있다. 오이과실파리는 동남아시아, 서태평양군도, 아프리카 지역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오이과실파리의 원산지는 분자생물학적인 분석을 통해서 동남아시아, 인도로 알려져 있다. 이곳으로부터괌,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군도를 포함하는 태평양군도, 하와이까지 이동하여 생존하고 있다. 오이과실파리의 기주식물은 125종 이상이며, 특히 박과식물을 선호한다. 성충 암컷은 산란관을 이용하여 과실껍질 안 2~4mm 정도 깊이에 산란한다. 산란과정을 통해 과실에 구멍이 생겨 과실의 경제적인 가치를 떨어뜨리거나 이 구멍을 통해 식물병원균이 침입하여 과실이 부패할
타마릴로는 남미 페루 안데스가 원산지로 미국에서 재배에 성공한 이후 남미, 뉴질랜드에서 재배되고 있다. 타마릴로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해충으로는 복숭아혹진딧물, 온실가루이, 남쪽풀색노린재, 꽃노랑총채벌레, 포충나방과에 속하는 Neoleucinodes elegantalis 소똥구리과에 속하는 Costelytra zealandica이 있고 선충류에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자바뿌리혹선충, 당근뿌리혹선충 등이 있다. 복숭아혹진딧물은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자두나무 등의 겨울눈이나 조피 아래에서 알로 월동하고 지역에 따라 3월 하순∼4월 상순에 알에서 부화한다. 부화한 성충은 단위생식을 통해 증식하며 개체수가 증가하면 유시충이 생겨 여름 기주로 이동한다. 10월 중하순이 되면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등으로 이동하여 알을 낳는 생활환을 가지고 있다. 채소, 화훼, 과수작물 등 대부분의 원예작물을 가해한다. 신초나 새로 나온 잎의 즙액을 직접적으로 빨아먹어 피해 부위가 생장을 멈추어 잎이 세로로 말리고 위축되거나 신초의 생육을 억제한다. 간접적으로는 식물바이러스병을 매개하고 이들이 배설한 감로는 식물체 잎과 과실을 오염시켜 그을
묘목 정식 바나나는 일 년 내내 심을 수 있지만, 6월에서 9월 사이에 심는 것이 좋다. 삼척, 사척바나나 품종은 6월에 심는 것이 잎의 반점병을 피할 수 있다. 정식시 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심한 추위 고온기간을 제외하고는 연중 내내 바나나를 심을 수 있다. ② 수확시기가 결정되면 역산하여 정식시기를 정하여 심을 수 있다. ③ 꽃봉오리가 시작되는 동안 식물이 활성 성장 단계에 있도록 심는 시기를 맞추어야 한다. ④ 다양성, 재배 지속 시간 및 재배형태 또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바나나 재식거리 재식거리는 품종, 재배기간, 재배방법, 식물의 높이와 넓이 등에 따라 다르다. 수고에 따라서 고수고형(2.7×7m), 중간형(2.5×5m), 왜성형(1.8×1.8m)이다. 국내 권장 재식거리는 1.5(주간)×6m(조간)로 식재주수(250주/10a)이다. 정식 후 5~8월에 수확할 경우 식재주수는 300주/10a(여름 수확형)이다. 정식 후 10~4월에 수확할 경우 식재주수는 250주/10a(겨울 수확형)이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 2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미라클푸르트Synsepalum dulcificum는 미라클 플랜트, 미라클베리플랜트,레드베리 등으로 불리며 Sapotaceae과의 상록성 다년생 약용식물이다. 이 작물은 콩고, 가나, 나이지리아 등의 열대 서부 및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원산으로 하며, 남부 나이지리아의 Yoruba, Igbo 사람들 사이에서는 Agbayun 또는 Uni라고도 불린다. 현재 대만, 일본 등지에서 대량으로 재배되고 있다. ‘미라클 푸르트’로 불리는 이유는 이 과실의 독특한 능력 때문인데, 과실이 신맛을 내다가 입안에서 단맛을 내도록 그 맛을 변형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서부 아프리카 사람들은 신 음식을 달게 하거나 음료를 만드는 데 이용해오고 있다. 미라클 푸르트의 수고는 재배지에서 3m 정도 자라며 원산 서식지에선 6.1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있다. 엽장은 5~10cm, 엽폭은 2~3.7cm 정도이다. 꽃은 양성화로, 개화 시 크림색의 꽃이 성숙하며 어두운 적색 또는 갈색으로 변한다. 꽃받침과 화관은 네 다섯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지며, 5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고 암술대에 일반적인 형태의 주두가 위치하고 있다. 과실은 붉은색으로 직경 2cm, 폭 1cm인 커피빈 정도의 크
바나나는 온난 다습한 기후에 적합하고 겨울철에는 적어도 16℃ 이상의 온도를 필요로 한다. 시설하우스재배의 토양조건은 토심이 깊고 약간 점질이고 수분 보수력이 양호한 토질이 좋다. 번식에는 뿌리 부분에서 출현된 흡아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일반 재배 농가의 묘목 갱신주기별 조직배양묘와 흡아의 이용 실태를 보면 재배 년차(조직배양묘) → 2년차(흡아) → 3년차(흡아) → 4년차(조직배양묘)이다. 묘목 식재 전 구덩이를 크게 파서 퇴비나 비료를 시용한다. 정식 후에도 비배관리를 잘하여 왕성한 생육을 유도한다. 정식 후 1년이 지나면 결실을 하는데 통상 과실이 완숙되기 전, 수송일에 따라서 수확, 수량은 품종이나 토양조건에 따라서 다르다. 결실이 완료된 나무는 후계주가 될 흡아를 남기고 지상 30㎝ 정도에서 베어 넘어뜨려서 퇴비로 이용한다. 재배시 주의해야할 병해충은 파나마병, 시들음병, 바나나 바구미 등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묘목 이용은 흡아를 사용하여 재배하거나 또는 조직배양을 통해 생산된 묘목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 1월호>에 게재된 내용 중 일부입니다.
올리브는 BC 3000~4000년경 동부 지중해 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아프리카 북부, 이베리아반도, 유럽 남부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다. 올리브 생산에 영향을 주는 주요 해충과 식물병은 다음과 같다. 깍지벌레과에 속하는 캘리포니아 붉은 깍지벌레(Aonidiella aurantii), 흰유리깍지벌레(Aspidiotus nerii), Lindingaspis rossi, Chrysomphalus aonidum, 올리브깍지벌레(Parlatoria oleae), Saissetia oleae 등이 잎, 가지, 열매에 피해를 준다. S. oleae는 감로를 방출하는데 그로 인해 잎과 과실에 그을음병이 생긴다. Comperiella bifasciata, Aphytis melinus, Scutellista caerulea와 같은 천적 기생봉을 이용하여 방제를 할 수 있다. 매미과에 속하는 Cytosoma schmeltzi는 나뭇가지에 산란을 하는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나무의 수액을 흡즙 하며 성장한다. 심한 경우 올리브 생장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과실파리과에 속하는 퀸즐랜드 과실파리, 지중해과실파리 등이 올리브 생장에 영향을 준다. 암
부트졸라키아는 인도 북동부의 아삼주, 아루나찰프레데시주, 나갈랜드주, 마니프르주와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에서 재배되는 종간잡종에 의해 품종 개량된 고추의 한 종류이다. ‘부트’는 인도 신화에 나오는 악령이라는 뜻이고 ‘졸라키아’는 인도 아삼 언어로 고추라는 뜻으로 유령처럼 맵고 강한 맛을 가졌다는 의미에서 유령고추라고 불리기도 한다. 부트졸라키아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으로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가루이과에 속하는 담배가루이, Aleyrodicus disperses, 말매미충과에 속하는 Amrasca biguttula biguttula, 잎벌레과에 속하는 Monolepta signata, 볼록총채벌레, 오리엔탈과실파리, 차먼지응애, 검거세미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목화명나방, 땅강아지, 섬서구메뚜기과에 속하는 Atractomrpha crenulata 등이 있다. 목화진딧물은 우리나라에서 박과작물과 고추에 피해를 주는 해충 중 하나이다. 주로 목화, 무궁화나무, 석류나무, 부용나무 등의 겨울기주에서 알로 월동 한 후 여름작물로 이동을 하는 생활환을 가지고 있다. 성충과 약충이 기주식물의 잎 뒷면, 새순 등에 집단으로 서식하면서 잎을 가해한다. 고추와 오이
카니스텔은 남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지인 사포타과 소교목으로 옆으로 퍼지는 가지에 어긋나는 가죽질의 잎이 있고 작은 흰 꽃이 달리는 특징이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이다. 카니스텔에 피해를 주는 식물병에는 Acrotelium lucumae에 의한 녹병,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탄저병, Elsinoё lepagei, Phyllosticta 등에 의한 잎점무늬병, Gloeosporium 속에 의한 잎괴사 등이 있다. 카니스텔의 잎은 잎점무늬병, 잎 괴사 등에 의해 피해를 많이 받으며 과실은 탄저병, 녹병 등에 의해 피해를 받는다. 탄저병은 성숙기 과일에 주로 발생하고 발생 초기에는 담갈색의 작은 반점이 전면에 발생하고 진전되면 적갈색, 원형 반점이 불규칙한 병반을 형성한다. 과실의 표면에는 분생자층인 소흑점을 형성하며 심한 경우 동심원을 가진 반점이 생긴다. 탄저병의 발생 정도는 과원의 재배환경과 관리 방법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카니스텔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철모깍지벌레Saissetia coffeae, 가루이과에 속하는 Aleurocanthus woglumi, 과실파리류(오리엔탈과실파리, 카람볼라과실파리, 퀸즐랜드과
구아버는 열대기후에서 자라는 과일로 열대지역에서는 수시로 열매를 맺어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과일이다. 잎, 줄기, 뿌리, 과일 모두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도,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남아프리카, 이집트, 예멘, 미국, 브라질, 멕시코, 쿠바, 베네수엘라, 뉴질랜드 등에서 상업적으로 생산을 하고 있다. 구아버에 피해를 주는 식물병에는 시듦병, 탄저병, 궤양병, 잎무늬병, 점무늬병, 그을음병, 모잘록병, 과정부썩 음병stylar end rot 등이 있다. 시듦병은 Fusarium oxysporum f.sp. psidii, F. solani, Macrophomina phaeseoli, Rhizoctonia bataticola, Cephalosporium sp. Gliocladium roseum 등의 병원균에 의해서 생기는 식물병이다. 구아버 생육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식물병으로 이 병에 감염된 구아버나무의 말단 가지 잎은 황색으로 변하면서 말라죽는다. 심한 경우 조기 낙엽이 된다. 탄저병은 Gloeosporium psidii, Colletotrichum psidii, Colletotrichum gloeosporoides 등의
3배체 품종 가운데 레드Red, 그린레드Green red 품종은 과방의 무게가 20~35㎏로 작고 과단은 5~7단, 과지 수는 60~100개 정도이다. 과실은 짧고 굶은 편이고 적색을 띠며, 과육율은 60~70%이다. 수고는 4~5.5m로 수세는 강하다. 정식에서 수확까지 18개월 정도이며, 개화에서 수확까지는 5개월 정도는 소요된다. 이 품종들은 파나마병에 약하고 반엽병에 저항성이 있다. 4배체 품종은 인위적인 육종에 의해서만 가능한 품종이다. 무사 엑큐미나타M. acuminata품종은 인도에서 그로스미첼 × 무사엑큐미나타 계통(무사 말라센시스)를 교배했다. 과단과 과지 수가 적기 때문에 인도 일부지역에 재배하고 있다. 보들레스 알타포트Bodles altafort품종은 자마이카에서 그로스미첼 × 피상릴린을 교배하여 얻어진 품종이다. 과방의 크기는 그로스미첼과 비슷하나 과지가 작다. 기타 품종을 살펴 보면 마이쇼어Mysore 품종은 수고가 3~4.5m이고 수세가 강하다. 과단은 10~17단, 과지수는 180~300개, 과육률은 60~70% 정도이다. 정식에서 수확까지 13개월, 개화에서 수확까지는 4개월이 소요된다. 실크Silk 품종은 왜성 카벤디쉬 만큼 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