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피플·칼럼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정찬식 원장

[파워인터뷰] “현장 중심의 신기술 조기 확산에 더욱 노력”

안정적 농산물 생산 기반 확립하고

재배 기술 고도화로 소득향상 추구

 

 

“빈번한 이상기후, 치솟는 농자재값, 넘치는 수입농산물, 부족한 일손 등 농업을 둘러싼 여건이 결코 만만치 않다”고 진단하는 정찬식 경상남도농업기술원장은 “그럼에도 우리 먹거리인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나아가 재배 기술 고도화로 소득향상을 꾀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이어 그는 “이곳 경남은 지리산이 자리하고, 남해안을 품고 있어 우리 농토의 축소판”이라며 “시설농업이 일찍이 보급·확산 되고, 다양한 작물 재배를 시도하며 우리 농업의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고 말한다. 현장 중심의 신기술을 조기 확산하고, 창조농업 실현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정찬식 경남농업기술원장을 만나 가슴 뛰는 농업·농촌을 만들기 위한 그의 생각을 들었다.

 

Q. 농업·농촌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농업 확산을 제시했다. 경남농기원이 추구하는 미래농업이 궁금하다.

- 스마트팜 환경·생육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연계해 인공지능학습을 통해 작물의 생육 진단 및 수량 예측에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 탄소배출 제로화를 목표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소 활용, 시설원예단지 에너지 자립 가능성과 스마트팜 연중활용을 위한 멜론 4기작 재배 등 고온기 재배 기술 및 에너지 비용 분석 연구를 하고 있다.

디지털농업 구현을 위해 농업 빅데이터 기반 생산량 증대와 품질향상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수많은 농업 분야 데이터 가운데 우선 농업생산성(수량, 과실 품질)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표준화하고 있다. 수집된 농업 빅데이터는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해 줄기 굵기, 엽수 등 생육예측 모델과 7주간의 환경과 생육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산량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현재 현장 적용을 위해 기술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과실 품질 개선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노지작물은 기후변화와 농촌인력 고령화 등의 변화로 안정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중요할 것이며, 시설작물은 스마트팜과 탄소중립,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인프라 고도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Q.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농업 전문인력 양성 계획은.

급격한 고령화의 농촌사회에 농업·농촌을 이끌고 지속시킬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농업기술원은 예비 귀농인들의 기술창업과 영농안정정착 등 전 과정에 걸친 지원체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맞춤형 교육과 정보 제공 등 귀농인의 농업·농촌 진입을 확대하기 위한 기술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농업의 가치 확산과 지속성을 위해 귀농인을 포함한 농업인학습단체가 지역 리더로서 역할을 다하도록 육성하고 있다.

귀농인의 애로점 해소에 집중하기 위한 현장수요 맞춤형 기술교육을 실시하는 등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선진 농업기술을 신속하게 도입하고 확대함으로써 귀농인 역량을 강화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 심각한 농촌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근로자 도입, 청년농업인 유입, 적극적인 농촌일손돕기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농업기술원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최적화된 환경의 스마트팜 모델로의 전환, 즉 원격 및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농작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첨단 미래농업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스마트팜 농업의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농업의 확산과 정착을 위해 ‘스마트팜’을 준비하는 농업인 지원 및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미래의 농업은 디지털 스마트농업이라 하겠다. 스마트농업은 기존의 노동집약적 농업에서 벗어나 전문화된 ICT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고품질 및 생산량 증대, 노동시간을 줄이는 지능형 농업으로 변모할 것이다. 이에 농업기술원은 우리 농업에 최적화되고 첨단기술을 활용한 한국형 스마트팜 도입을 통해 선진농업으로의 도약과 100년 농업의 미래가 보장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

 

Q. 경남농기원이 올해 중점 추진하는 사업은.

경상남도농업기술원과 농촌진흥청은 경남지역 농업 경쟁력 향상 및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양파 등 8개 작목(곤충, 파프리카, 단감, 국화, 사과, 도라지, 망고)을 특화작목으로 선정하고,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302억 원을 투입해 집중 육성하고 있다.

 

8개 특화작목은 우량 신품종 육성, 고품질 생산‧재배 기술 개발, 가공‧유통시스템 구축, 내수‧수출시장 확대 등 다각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종자 자급률을 50% 이상 끌어올리고, 디지털 재배 기술 등을 도입해 생산성을 20% 향상시키며, 노동력 절감 등으로 생산비를 20% 줄일 계획이다.

 

특히 8개 특화작목 중 ‘양파’와 ‘곤충’은 국가 집중 육성 작목이기도 하다.

양파는 전국 재배면적의 19.3%인 약 2,825ha를 차지하는 경남지역 대표 작목이지만 값비싼 수입 황색 양파를 주로 재배해 종묘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농촌고령화 등에 따른 노동력‧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계화 재배 기술도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수입 대체 고품질 황색 양파 품종, 소비 확대를 위한 적색‧백색 양파 품종 등 신품종을 육성‧보급해 종자 자급률을 현재의 30%에서 2025년 50%까지 끌어올리도록 하겠다.

 

파종‧정식‧수확 작업의 기계화 촉진을 위해 무멀칭 재배기술 등을 개발해 생산비를 현재의 10a(아르) 당 253만3,000원에서 2025년 200만원으로 21%가량 낮추고, 양파 껍질을 활용한 기능성 가공품 개발 등 양파 가공품 소비 비중도 2025년까지 20%로 지금보다 2배 늘릴 계획이다.

 

경남 곤충농가의 60%는 흰점박이꽃무지 생산 농가다. 동시 출하로 인한 판매 애로 및 가격 하락, 판로 개척을 위한 제품화 부족 등으로 어려움이 크다. 이에 식용곤충 특유의 이취 제거 기술개발, 식용곤충을 이용한 성형쌀‧소세지‧두부‧국수 등 가공제품 개발, 식용곤충을 소재로 한 반려묘 사료‧간식‧이유식 개발, 식용곤충(흰점박이꽃무지)의 유용 성분(인돌알칼로이드)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경남 유용곤충 시장 규모를 2025년엔 88억원으로 2배 이상 확대하고, 유용곤충 생산성도 현재의 12.4kg/3.3㎡에서 2025년 15kg/3.3㎡으로 높이겠다.

 

이밖에 파프리카는 국내 소비 및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미니 파프리카 품종을 육성하고, 경남형 순환식 수경재배기술을 확립하려 한다. 국화는 화단용‧경관용‧밀원용 분화 신품종을 개발하고, 2025년까지 분화 재배 20농가를 육성할 계획이다. 사과는 적화, 전정 등의 기계화를 통해 노동시간을 줄이고, 생산량을 늘릴 방침이다. 또 도라지는 우량 종묘 생산, 용기 재배기술 개발, 연작장해 경감 등 안정생산체계를 구축하겠다. 망고는 지역 기후 맞춤형 신품종 육성, 연중 안정생산기술 개발, 수확 후 저장기술 개발 등 신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원은 특화작목별 최적화된 연구환경 조성과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해 경남지역 8개 특화작목의 시장 규모화 및 수출경쟁력을 강화해나가겠다. 이를 통해 특화작목 생산 농가의 연평균 소득 증가율을 전국 농가 대비 2배 이상 높이고, 경남농업 발전과 국가균형발전을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Q. 경남기술원의 우수 사업을 꼽는다면.

우리 지역에 적합한 좋은 품종을 다량 개발 보급한 것이다. 지난해 조생종인 ‘조원’ 벼 품종을 육성·보급했다. ‘조원’은 마늘과 양파 후작으로 재배 가능한 품종으로 농가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어 올해도 80ha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 경남지역에 알맞은 고구마 신품종 ‘진다미’를 육성했다. ‘진다미’는 조기재배가 가능한 밤고구마로 대조 품종인 ‘진율미’보다 수량성이 15% 높고, 병해충에도 강한 특성을 가졌다. ‘왕누리’ 품종은 만생종 단감으로 기존의 ‘부유’ 품종보다 숙기가 빨라 서리피해를 줄일 수 있고, ‘부유’ 단감보다 1.5배 큰 특성으로 선물용으로 특히 인기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3년 5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