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제주백수오의 생육
백수오 지역별 수집된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엽면적은 수집종간에 차이가 있는 경향이나 괴산>홍천>청원>제주 순으로 작은 경향이다. 또
경장은 괴산, 홍천, 제주는 비슷한 경향이나, 청원 수집종이 다소 짧은 경향이다.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괴산, 홍천, 제주는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청원종이 다소 작은 경향이다.
나. 제주백수오의 품질 및 성분
제주도는 전국 약용작물 재배 면적의 5.3%를 차지한다. 제주도는 아열대 약용작물재배의 적지로 타도보다 약용작물 생육기간이 길고 표고 높이에 따라 다양한 약용작물이 자라고 있다.
제주백수오와 타지역 백수오의 Cynandione A성분 함량 비교하면, 2015년 제주테크노파크 연구보고서에서 제주산 백수오에 대한 HPLC 분석을 실시하여 제주백수오의 성분을 규명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제주백수오는 <그림1>과 같은 Cynandione A 함량(12.796)을 나타냈다.
<팜&마켓매거진 2월호 게재>
키워드 :제주백수오, 양석철 연구사, 하수오, 이엽우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