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 Lat시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고온과 태풍에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재배시설이 거의 없다. 때로는 거베라 생산을 위해 차광망을 설치하여 재배하는 경우도 있다. Da Lat시의 화훼생산시설은 투명 플라스틱 PVC 지붕을 한 비가림 하우스 형태가 압도적이다. 이 하우스에서 대부분의 화종을 주년생산 할 수 있다. 온도 조절은 되지 않지만 하우스 측면의 미세 그물망을 통해 시원한 공기가 작물에 닿게 된다. 하지만 비가림 하우스라고 하더라도 공중습도가 높아지는 우기 동안과 열이 축적되는 1월~4월 사이의 더운 건기 동안에는 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PVC 지붕 비가림 하우스의 면적은 320ha이다. Da Lat시에는 수 백 개의 육묘장과 조직배양실이 있고, 베트남 전체로는 더 많이 있다. 규모가 큰 회사나 조직이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대학에서 조직배양 기술을 배워온 농장의 자녀가 운영하거나 또는 연구사가 퇴근 후에 수입을 올리기 위해 조직 배양묘를 생산하는 소규모 형태이다. 조직배양은 국화·카네이션·백합·안개꽃·스타티스·심비디움·거베라 생산에 직접 사용된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조직 배양묘를 구입하여 모주를 만들어 삽수를 딴다. 그러나 일부 농민은 고품질 꽃
이번 이야기는 라오스의 콩 생산성 향상을 돕기 위해 올해부터 새로 시작될 연구 과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콩과작물(대두 및 녹두)은 식물성 단백질, 복합 탄수화물 및 미량 영양소의 주요 원재료로 소규모 농업인에게는 유용한 소득 작물이다. 또한 비교적 저비용으로 높은 단백질과 풍부한 영양 공급의 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콩과작물은 식품 재료로의 소비, 동물 사료 및 산업적인 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폭넓게 재배되고 있다. 콩과 녹두는 라오스에서 많이 소비되는 콩과 식물로, 영양분 공급과 상업적인 생산을 위한 작물로 널리 고려되고 있다. 또한 대두와 녹두는 쌀, 옥수수, 카사바, 고무나무 등 단일 재배(mono cropping system) 작물과는 달리 기후 변화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윤작 작물로 활용할 수 있고, 높은 영양분을 제공하고, 토양 비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라오스는 국가 영양 전략 (2025)과 국가 영양 실천 계획 (2016-2020) 달성을 위해 높은 영양가를 지닌 작물의 재배를 증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콩과 작물의 확대 재배는 국가 영양개선 목표의 성공에 기여 할 수 있는 중요한 작물로 고려하고 있다. 라오스에서 쌀은 총
베트남 화훼는 주로 절화의 생산과 유통, 판매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베트남에는 절화 외에도 다양한 화종의 화훼가 생산 판매되고 있다. 생산 면적이 가장 많고 생산액이 큰 품목은 장미이다. 2002년 장비 재배 면적은 2000년 대비 25% 증가한 면적이다.1 이러한 면적 증가 추세는 국화 (34%), 거베라(34%), 백합(26%)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팜&마켓매거진 3월호>에서는 코피아 베트남센터 김영란 씨의 베트남 정부의 화훼산업을 자세히 다루었다.
이번호 라오스농업에서는 한국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라오스 북부 루앙프라방에서 생산되는 오렌지 농사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라오스에서 과일들을 먹어보면 대체로 맛이 없고, 품질이 좋지 못한 편이다. 시장에서 품질과 맛이 괜찮은 과일이나 채소들은 대부분 수입산이다. 라오스의 북쪽 루앙프라방에서 북서쪽으로 약 120km 정도 떨어진 남박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는 라오스의 오렌지도 예외는 아니다. 이 지역은 오래전부터 오렌지를 재배해 왔고, 2017년 기준으로 약 700ha의 오렌지 과수원이 있다. 26개 마을에서 약 1,300농가가 참여하는 지역의 중요한 소득 작물이다(루앙프라방 DAFO 자료). 그래서 마을의 도로변에서는 오렌지를 파는 작은 상점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처음 라오스에 왔을 때 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작은 망고 열매를 보고 라오스 친구에게 왜 너희 나라에서는 큰 망고를 볼 수가 없고 대부분 작은 망고 밖에 없느냐고 물어 보았던 기억이 있다. 그 때 라오스 친구의 대답은 작은 재래종 망고가 맛이 있어 그것을 먹고 있다고 말했다. 라오스에 살면서 알아가는 것은 맛이 있어서 못난이 재래종 망고를 먹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새로운 고품질
라오스는 많은 것이 부족한 나라이다. 농사를 짓는데도 예외는 아니어서 농약, 비료, 농자재, 농기구 및 농기계들이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라오스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은 모두 유기농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는 않다. 라오스는 연중 온화한 기후에 우기의 다습과 건기의 건조로 생각 외로 병·해충의 발생이 많다. 그래서 제대로 농약을 살포하지 않으면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이러한 현실 때문에 라오스에서는 사실 유기농 재배가 쉽지 않은 나라이다. 그러나 벼를 포함한 일부 채소작물 중에는 유기농으로 재배, 생산이 가능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고수, 비름(아마란사스), 인디언시금치, 바질, 레몬그라스 등의 허브 채소들이 이런 종류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흔히 많이 생산되어 소비되는 주요 채소들은 라오스에서도 유기농 재배는 거의 불가능하다. 라오스는 자국에서 농약과 비료들을 생산하지 못해 거의 중국이나 태국의 농약과 비료를 수입해서 활용하고 있다. 이런 실정 때문에 대부분의 소규모 농가 텃밭에서는 비료나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규모가 있는 농사를 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채소의 생육에 필요
팜&마켓매거진 7월호(2017년)에 이어 라오스에서의 한국 고추 재배 및 생산에 관한 이야기이다. 라오스 고추 품종은 대부분 우리나라와 종이 다른 ‘캠시쿰 치넨세’종이다. 일부 농가에서 태국 고추 품종들이 재배되고 있지만, 생산량 자체가 아주 적다. 라오스에서 맛있는 우리나라 고추 품종의 재배를 통해 고추 종자의 수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국고추 재배 시험을 실시했다. 우리나라 고추 품종을 라오스에서 재배할 때 무엇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했다.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 북쪽 루앙프라방 주, 남쪽 참파삭 주에서 한국 고추 품종의 종자를 도입하여 시험을 수행했다. 지난해는 라오스 비엔티안의 원예연구센터에서 9월에 파종하여 우기가 끝나는 11월에 노지에 정식하여 올해 4월까지 시험을 실시했을 때 좋은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올해는 건기의 막바지인 4월에 파종하여 우기가 시작되는 6월에 비엔티안 주의 자체 시험연구 포장에 고추를 정식하여 재배시험을 실시했는데 그 결과는 좋은 성과를 얻지 못했다. 비엔티안 주 자체포장에서는 한국고추 7품종을 재배했는데, 멀칭용 비닐이 없어 멀칭을 하지 않고 고추를 심어 우기 고추 밭의 풀을 관리하는
수출입 통관 제도 1. 관세율 베트남 인삼은 아주 소량 재배하는 관계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베트남에서 인기가 있는 한국 인삼제품의 경우에는 대부분 건강보조식품으로 분류되어 품목에 따라서 10~20%의 관세를 적용받는 제품도 있지만, 거의 30%의 수입관세와 10%의 부가세를 적용받고 있다. 최고 50~100%까지 적용받는 품목도 있어 정상적인 세관 신고를 기피하고 어쩔 수 없이 실제 매입금액의 20~30%만 언더벨류를 적용하여 세관에 신고하는 실정이다. <팜&마켓매거진>1월호에서는 더 자세한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KOPIA 베트남센터 김예진
지난 <팜&마켓매거진> 9월호에 이어 라오스의 잠업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 하고자 한다. 현재 진행 중인 잠업 협력연구 과제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한국의 누에 전문가 농촌진흥청 잠사양봉소재과 강필돈 박사를 지난 10월 30부터 11월 3일까지 라오스로 초대했다. 라오스의 실험 현장을 둘러보고, 문제점과 개선방안, 금후 추진 과제 등을 지도했다. 라오스 원예연구소의 잠업 담당자가 올해 한국에서 연수를 받고 와서 나름 열심히 일을 하려고 하는데 너무 여건이 빈약하다. 어찌되었건 한국의 전문가가 라오스의 잠업현장을 방문하여 함께 소통하는 시간을 갖게 되어 많이 감사하고 있다. 강필돈 박사님과 함께 라오스 원예연구센터에서 진행 중인 누에 사육시설, 뽕나무 재배시험 포장 등을 둘러보았다. 누에 사육실은 너무나 빈약한 시설이지만 일단 누에들을 생육단계별로 분류해서 관리 하는 것은 잘 하는 것이라고 격려했다. 그러나 누에 사육실이 너무 지저분하여 청소가 필요함을 강하게 설명하고 사육실의 환기를 잘해야 함을 설명했다. 그리고 실내의 온도와 습도 환경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온·습도계를 갖추고 관리 하도록 했다. 현재 사육중인 라오스 고치의 크기가 너무 작
품종 베트남 인삼은 1973년 베트남 일부 학자들에 의해 베트남 야생 인삼으로 알려지게 됐다. 베트남 중부 및 북부의 고산지대인 해발 1,800 미터의 컨텀성 녹린산(Ngoc Linh Mountain, Kontum Province)에서 발견된 인삼은 Panax vietnamensis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 외에도 “Pseudo-Ginseng”으로 불리는 다른 종류의 야생 인삼이 베트남과 중국 국경부근 북부산악지대인 라오까이성의 사파(Sapa, Laocai Province)에서 발견됐다. 지역 현재 베트남 인삼은 중부의 산악지대인 달랏(Da lat) 인근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규모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상품성을 유지할 정도의 규모 있는 재배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능 및 연구 일본, 폴란드, 구 소비에트 연방의 베트남 야생인삼 성분조사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 야생인삼의 성분은 한국산 인삼과 흡사하다. 성분구성 또한 세계 3대 명품으로 분류된 한국산, 미국산, 중국산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기존의 Panax 인삼 종류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사포닌 majonoside-R2의 함량이 밝혀져 일본 학계 및 의학계의 비상한
13조. 소매사업장 설립 제안서류 1. 무역부 양식에 따른 베트남에서의 소매사업장 설립신청서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a) 기업의 명칭 및 본사 주소; b) 이미 설립한 소매사업장의 명칭 및 주소; c) 설립예정인 소매사업장의 명칭 및 주소; d) 소매사업장의 활동내용; đ) 소매사업장 명의자의 성명, 거주지, 주민등록증 또는 여권 또는 기타 합법적인 개인증명서의 번호; e) 기업의 법률에 따른 대표자 성명, 서명 2. 사업허가서 사본. <팜앤마켓매거진 11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