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무늬병은 토마토와 고추에서 주로 발생한다. 특히 토마토 유묘에서 발생한 점무늬병은 정식후에도 피해를 주기도 한다. 토마토 점무늬병은 일반적으로 흔하게 발생하는 병은 아니다. 그러나 종자전염성으로 알려진 점무늬병에 감염되면 육묘단계에서 심하게 발생하여 피해가 커진다. 초기 방제를 실패할 경우 토마토 재배농가까지 감염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병징과 발생 특징을 알고 초기에 방제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세균에 의한 세균점무늬병과의 병징을 구별함으로써 병진단에 도움을 받는 것도 필요하다.
가. 병징
육묘중인 토마토 잎에 주로 발생한다. 초기에는 1~2㎜의 작은 갈색 점무늬를 형성한다. 병반이 진전될수록 암갈색의 불규칙한 점무늬로 확대되고, 서로 합쳐져 잎이 말라죽기도 한다. 병반 가운데는 회갈색을 띠며 자세히 들여다보면 회록색의 곰팡이 덩어리를 관찰할 수 있다. 환경조건에 따라 병징의 차이가 심하다. 특히 다습한 조건으로 관리되는 육묘상에서는 식물체 전체에 발생하기도 한다. 일부 육묘장 및 농가에서는 세균점무늬병(병원균 : Xanthomonas perforans)과 혼동하여 초기에 방제를 잘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var 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Int("680");
var imageLoaded = function(obj) {
// Run onload code.
var title = obj.attr('title');
obj.attr('alt', title);
obj.removeAttr('title');
var image_align_class = "";
var clazz = obj.attr('class');
if (clazz != null && clazz.length > 0) {
image_align_class = " "+clazz;
}
obj.attr('class', 'img');
obj.removeAttr('xtype');
var w = obj.width();
if (isNaN(w)) {
w = 0;
}
var h = parseInt(obj.css('height'));
if (isNaN(h)) {
h = 0;
}
if (w <= 0) {
var timg = new Image();
timg.src = this.src;
w = parseInt(timg.width);
if (isNaN(w)) {
//...
}
}
if (w > MYNEWS_PHOTO_LIMIT_WIDTH) {
var pct = parseFloat(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Float(w);
w = MYNEWS_PHOTO_LIMIT_WIDTH;
if (pct > 0 && pct < 1 && h > 0) {
h = Math.floor(parseFloat(h) * pct);
}
}
obj.css('width', w+"px");
if (h > 0) {
obj.css('height', h+"px");
}
if(image_align_class.trim() == "sm-image-c")
{
obj.wrap("");
}
else
{
obj.wrap("");
}
if (title != null && title.length > 1) { // 기본 공백 무시
if (title.indexOf('▲') == -1) {
title = '▲ ' + title;
}
// obj.after("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