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원의 형태를 갖추고 경제적 수익을 목적으로 한 재배의 시작은 1906년 고종황제 칙령 제37호로 뚝섬의 독도원예 모범장纛島園藝 摸範場을 설치한 이후부터다. 이때부터 외국의 포도 품종인 ‘블랙함부르크Black Hamburg’ 등 7품종을 들여와 재배시험을 한 기록이 있고, 1901년부터 1910년까지 미국 15, 일본 106, 중국 4, 프랑스 3, 이탈리아 25품종 등 총 153품종을 도입하였다. 1908년 ‘캠벨얼리’품종을 재배 시험했으나 우리나라에 맞는 품종으로 추천되었다는 정확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 일제 시대에는 일본인 또는 일본 유학자들이 신기술을 도입하였다. 지역별 재배 형태가 정착하는 시기로 안양과 부천은 웨이크만식, 대전은 우산식, 안성은 올백식 등으로 재배하였다. 한편 1910년은 일본인이 경북 포항에 150ha의 산지를 개간하여 포도를 심고, 포도주 공장을 설립하는 등 대규모로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해방 후 정부는 지역별 특화 사업으로 포도 재배를 권장하였다. 1966년에 계획된 ‘농촌공업화와 지방특화산업육성 정부계획’에는 대덕(현 대전)에 포도주 공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포함하였다. 1969년에 개최된 ‘제1회 농어민 소득증대사업
웃거름(덧거름)웃거름은 생육 기간 중에 부족한 비료성분을 보충해 주어 꽃눈분화, 과실 비대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한다. 시비 시기는 5월 하순에 주며 질소는 연간 사용량의 10∼20%, 칼리는 40∼50%이다. 웃거름이 너무 강하면 신초 생장이 늦게까지 계속되어 과실 품질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어 일본의 경우는 가급적 웃거름을 피한다<표 1>. 우리나라는 6월 하순부터 7월 말까지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므로 칼리질 비료는 2∼3차로 분시하는 것이 좋고 사질과 경사지 과수원에서는 분시 횟수가 많을수록 좋다. 가을거름 가을거름은 과실 생산에 소모된 양분을 나무에 보충하여 주어 다음 해 발육 초기에 이용될 저장양분을 많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좋은 과실을 만들어낸 나무에 대하여 감사하는 의미로 주는 비료라고 하여 예비라도 하고, 가을에 주는 비료이기 때문에 가을 비료라고도 한다. 가을거름은 9월 중하순부터 시작되는 가을 뿌리의 신장에 맞추어 사용한다. 이 시기에 흡수된 양분은 다음 해 봄에 나무의 초기 발육, 즉 전엽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한랭지에서는 예비가 토양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여 봄에 겨울 비료의 비효를 빨리 나타나게 한다. 유효양분의
재배적인 분류 들깨를 재배적인 실용면에서 종실의 크기에 따라 천립중이 2.5g 내외인 소립종, 3.5g 내외인 중립종, 5g 이상인 대립종으로 구분하고, 종피 색에 따라 백색종, 회색종, 갈색종으로 구분하고, 줄기 색에 따라 적경종과 청경종으로 구분한다. 생태형 및 성숙기에 따른 분류 ① A형(장간만생다분지형) : 이 형에 속하는 것은 난지에서 많이 재배되는 품종들이며, 일반적으로 숙기가 늦으며 화방군수가 많다. ② B형(중생중간종) : A형보다 분지의 발달은 왕성한 편이나, 화방군수가 적고, 숙기는 중간에 속하는데 대부분이 남부내륙 및 중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③ C형 (조생단간다분지형) : B형보다 경장이 짧고, 분지수가 많으며, 숙기는 일반적으로 빠르다. 이 형은 중부내륙지방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식물학적 분류 Perilla 속의 종 분류는 분류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4종 1변종으로 분류한다. 재배종인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들깨)와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차조기)는 서로 변종의 관계로서 염색체가 2n = 40이며, 야생종으로는 Perilla citriodora, P.
토마토는 뿌리에서 주로 질산NO3-의 형태로 질소를 흡수한다. 질소는 식물체 중 단백질이나 핵산 그리고 엽록소의 주요성분이기 때문에 결핍되면 생장이 위축되고 엽록소의 생성이 저해되어 잎이 황화한다. 생육 초기에 질소가 지나치게 많이 공급되면 줄기와 잎이 과번무하게 되어 과실의 비대가 늦어진다. 질소 부족 증상 식물의 생장이 매우 나쁘고 잎이 소형으로 되는데 특히 상위 엽이 극단적으로 아주 작아진다. 식물체에 엽록체 생성이 잘 안 되어 하위 잎에서부터 상위 잎으로 점차 황백화Chlorosis되며 엽맥을 포함한 잎 전체가 황변한다. 착과 수는 적어지지만 빨리 비대한다. 볏짚을 다량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질소 결핍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대책 응급 대책으로는 요소 0.5%를 일주일 간격으로 몇 차례 살포하거나 알맞은 양의 질소 비료를 물에 녹여 관비한다. 모래땅과 같이 질소가 유실되기 쉬운 경우는 시비 횟수를 늘려 여러 번 나누어 시용함으로써 비료 이용률을 높인다. 토양에 줄 경우 암모니아태 질소는 토양 표면에 흡착되어 뿌리로는 바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질산태 질소가 바람직하다. 특히 저온기에는 질산태 질소 비료의 시용이 유효하다. 신선유기물 시용이나 볏짚을 다량
붕소 과잉 증상 발아 시에 떡잎의 끝부분이 갈색으로 변하며 컵 모양으로 말린다. 잎이 전체적으로 황화되어 생육 초기에서는 비교적 아래 잎의 가장자리에 황백화(클로로시스 : 엽맥 사이의 녹색이 없어지고 황색과 백색으로 변하는 현상)가 나타난다. 대책 붕소는 작물에 대한 시용 적량의 폭이 좁아 조금만 많이 시용해도 과잉장해가 나타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토양의 산도pH가 낮을 경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므로 소석회나 석회석 등 석회질비료를 시용해서 토양의 산도를 높인다. 작물이 생육하고 있을 때는 소석회Ca(OH)2 보다는 물에 잘 녹는 석회석CaCO3을 시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물을 많이 주어 물에 녹아 있는 붕소를 용탈시키도록 하며 관수 후 석회질비료를 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 작물을 재배할 때는 붕소 과잉에 강한 작물을 재배하도록 한다. 질소 결핍 증상 잎이 작아지는데 특히 위쪽의 잎이 작아진다. 아래 잎에서 위쪽의 잎을 향해 점차적으로 옅은 황색으로 변하며 처음에는 엽맥 사이가 황화되고, 점차 잎 전체로 번져가며 위쪽의 잎은 작아지지만 황화되지 않는다. 착과 수가 적어지고 과실 비대도 불량해진다. 발생 원인 퇴비 등 유기물의 시용량이 적고 토양 중에
올리브는 전년 봄부터 여름에 걸쳐 생장한 가지의 잎 겨드랑이(엽액)에서 꽃이 달린다. 처음에는 중간아中間牙로 형성되는데, 결과지結果枝의 정부頂部와 기부基部의 일부를 제외하고 12월 이후에 생리적 꽃눈분화를 시작하여 형태적으로는 3월 하순에 꽃눈분화가 시작된다. 꽃눈은 4월 이후 급속하게 화기의 형성·발달이 진행되어 5월 중순에는 거의 완성되며, 보통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에 개화한다. 자료 : 농촌진흥청 다음 호에서는 <과실의 특성과 발육>에 대해 연재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5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배나무의 밑거름은 낙엽기부터 휴면기 중에 사용되는 비료로, 겨울 비료라고도 한다. 질소는 연간 시비량의 50∼70%를 사용하고 인산질 비료는 100%, 칼리는 50~60%를 사용한다. 퇴비나 석회(고토석회)를 기비로 주며 시비 시기와 퇴비의 종류에 따라서 화학 비료량을 가감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질소질 비료를 과다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한 판단은 엽분석을 통한 영양진단을 해야 하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어려움이 많다. 개략적인 방법으로는 낙엽 상태, 가지와 눈의 상태를 보고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신초 생장은 6월 하순∼7월 상순에 그치고 신초 선단이 다소 비대하여 3장의 멈춤잎이 붙어 있는 것이 낙엽 전의 이상적인 가지이다(그림 1). 낙엽 시기는 일반적으로 10월 하순경이고 1∼2회 서리가 내릴 때 일제히 낙엽되는 것이 정상적인 상태이다. 낙엽기가 너무 빠르거나 늦은 현상은 수체의 영양상태가 정상이 아님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낙엽 시기가 빠른 것은 양수분의 부족이나 결실 과다 등으로 수세가 떨어진 경우이다. 반대로 낙엽 시기가 늦거나 오랜 기간에 걸쳐서 낙엽되는 현상은 질소 사용이 많았거나 생육 후기까지 질소가 너무 많이
대목 이용 현황 전 세계적으로 복숭아 번식에 이용되는 대목으로는 복숭아 재배 품종 및 야생 복숭아의 종자로부터 얻어진 실생뿐만 아니라 복숭아의 근연종인 산도P. davidiana, 아몬드P. amygdalus, 앵두P. tomentosa, 자두P. cerasifera, P. insititia, P. besseyi 및 기타 앵두나무속 내 종간잡종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대목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사질토 및 사양토 지대에서 근계의 내한성 증대, 내습성 증대, 내건성 증대와 강알카리성 토양에서의 적응력 증대, 토양의 기지성 및 선충 저항성 증대, 나무 세력 조절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야생 복숭아 종자가 대목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오하츠모모를 비롯한 야생 복숭아 종자가 대목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왜화 재배를 목적으로 정매P. japonica, 앵두P. tomentosa와 같은 것들도 시험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앵두는 복숭아와 접목 친화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초기 고사율이 높다. 게다가 수확 시 건조가 계속될 경우에는 과실에 떫은맛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