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절 농업고등학교를 졸업했고,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정문호 대표는 평택시에서 35년 공직생활하는 동안 사회복지 업무를 맡았으며, 봉사 중심의 삶을 살았다. 퇴직 후에는 ‘돈으로 봉사하자?’ 즉, 농업 수익으로 어려운 이웃 돕는 일과 아프리카 우물 파주기 등 사회적 기여 목표를 설정했다. “퇴직하면 뭘 할까? 고민할 때 와이프가 농사짓고 싶다고 해서 선택했어요. 지금의 안정된 농사를 정착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와이프의 역할과 지원이 컸죠. 좋은 곳에 쓰기 위해 농사를 잘 지어서 돈을 벌어야죠. 농업을 통해 또 다른 꿈을 키워가는 도전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정 대표는 “농업을 단순한 생계 수단이 아닌 ‘국민 먹거리를 책임진다는 새로운 사명’으로 삼고 있다. 84세에 만평 하우스를 운영하는 멘토님처럼, 저도 오래 농사를 지을 것이다. 그리고 돈을 벌어 꼭 좋은 곳에 쓰고 싶다”고 말했다. 공직에서 농업으로, 그리고 나눔으로. 이제는 평택시 농특산물 브랜드 슈퍼오닝 오이의 가치를 높이는 농부의 길을 걷고 있는 정문호 대표의 이야기를 취재 노트했다. 평택시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 김인숙 과장은 “평택시청 과장님 시절에도 우리 농산물을 응원했었고, 퇴직 후에
풋땅콩 생산단지를 조성하여 여주 땅콩의 명성과 브랜드를 만들어 나가는 여주시 농업기술센터(소장 안치중)와 땅콩 농가들이 최고의 기술력으로 연중 땅콩을 판매하여 소비자의 입맛을 선사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센터는 풋땅콩 연중 공급 생산단지를 조성하여 재배기술 컨설팅을 추진했다. 박광영 시범사업 단지 대표는 “여주 땅콩은 예로부터 재배적지로 달고 맛있다. 더구나 베테랑 땅콩 전문 농가들과 함께 뭉쳐서 연중 소비자들에게 땅콩을 판매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 설레고 기대된다. 농업기술센터와 협업하여 고소하고 맛있는 여주 땅콩을 보급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육성 품종 땅콩으로 여주 땅콩산업의 활성화를 만들어 나가는 여주 대신땅콩작목반(회장 박광명, 사무국장 김진욱, 감사 정낙훈)현장을 찾았다. 볶아도 먹고, 쪄서도 먹고 그냥 먹어도 고소한 여주 땅콩은 우리 몸의 건강을 챙겨주는 영양 식품이다. 특히 혈관건강, 다이어트. 당뇨·빈혈· 뇌 건강에 도움 된다고 하니 눈이 번쩍였다. 이 지역은 거의 90% 직거래로 판매하고 있다. 여주 땅콩 명성 이어가기 여주시땅콩연구회원들은 30~40년 이상 땅콩 농사와 함께했다. 거의 평균적으로 300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