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전문가 코너

<수경멜론8>적절한 급액량의 설정

비료 농축액 조제 시 유의사항

1. ‌칼슘이온(Ca2+)과 황산이온(SO42-) 또는 인산이온(H2PO4-, HPO42-, PO43-), 킬레이트철(Fe-EDTA 등)과 황산이온 또는 인산이온은 혼합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이온들이 서로 결합하여 침전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2. ‌비료염을 빼고 조제하거나, 비료염을 잘못 사용하거나, 비료염의 순도 검증이나 분자량의 변화, 성분함량 등을 확인하지 않고 잘못 조제하면 작물의 생육, 수량 및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양·수분 흡수에 관여하는 요인

(기상환경) 일사량, 기온, 습도, 배지온도, 바람 등이 흡수율에 영향을 준다.

(배지조건) 배지 공극률, 용존산소량, 뿌리 주변의 pH 등이다. 공극률이 높고, 산소공급이 충분하며, pH 수준이 적정할 때 흡수가 왕성하다.

생물단계(잎면적) 병해충 발생 정도

‌흡수율이 낮을 때는 급액량을 줄여 과습과 웃자람을 방지한다. 아울러 원인(pH 등)을 분석하여 해결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 7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