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전문가 코너

과수화상병 고위험 과원 관리요령<9>

사전 방제 약제와 사과·배 개화전 방제법

과수화상병은 감염원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식물체를 건강하게 키우면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

과수화상병 방제 방법은 궤양 제거 등 물리적 방제, 항생제 살포 등 화학적 방제, 미생물제를 꽃 주위에 살포하면 미생물 군집을 형성하여 화상병 세균의 침입을 어렵게 하는 생물학적 방제가 있다.

화학적 방제 및 생물학적 방제도 화상병 예측시스템의 예측정보와 연계하여 적용 시 방제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개화기 생물적 제제를 통한 방제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화기 이전에 1∼2주전에 살포해야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생물적 제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살포 시기를 결정한다.

 

방제 시 주의사항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해 과수화상병 등록 약제로 전국 3회(개화 전 1, 개화기 2) 방제를 실시하고, 지역별로 생육기에 추가 방제한다.

 

품종, 지역, 기상 등 제반조건에 따라 살포 시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지역여건과 등록된 농약의 살포 시기에 맞게 약제 살포한다.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등록약제와 사전 약제방제 확인서를 받아 농약 살포 후 사전 약제방제확인서에 내용을 작성하고 농약봉지는 버리지 말고 반드시 1년간 보관한다. 약제 살포사진 및 농약봉지 등 사전 약제방제를 살포했다는 증빙자료 확보한다.

 

생육기에 화상병이 발생된 경우 또는 예방용으로 약제 살포할 경우 해당 약제(화상병 적용 약제)만 사용한다. 다른 약제와 혼용하거나 바로 이어서 살포할 경우 약해발생이 우려된다.

 

약제살포 적기(배) : 꽃눈 발아 직후(아래 그림의 (나)와 (다)가 함께 보일 때)

방제방법 : 개화 전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농약 및 유기농업자재를 정해진 희석배수 등의 방법에 적합하게 약제 살포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3년 1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다음 호에서는 <사전방제와 농작업>에 대해 연재한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