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병해충 방제 & 잡초

잎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게 병든 식물체는 아랫잎이 누렇게 되고 말라 죽는다.

 

병징은 6월 중하순부터 나타나며 9월까지 발생한다. 비닐하우스 재배의 경우 7~8월경에 50% 발병률을 보인다. 병원균은 분생포자가 공기로 전염되어 계속해서 발생을 일으킨다.

 

 

발병적온은 15~28℃이다. 특히 일조가 부족하고 밤과 낮의 온도 차가 크고 다비재배를 할 때 병 발생이 많아진다.

 

병든 잎의 잔재물을 모두 모아서 태우거나 땅속 깊이 매몰한다. 밀식을 피하고 포기사이에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재배한다.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균형 시비한다.

 

발병초기에 등록된 약제인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플룩사피록사드 액상수화제, 바실루스서브틸리스큐에스티713 수화제를 살포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 2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