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농림축산식품

용인시 할미산성, 6세기 전반 축조

제의적 기능 산성 확인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선장산(할미산)에 석축으로 조성된 ‘용인 할미산성’은  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용인시는 한국문화유산연구원과 지난 2011~2016년 5회에 걸쳐 진행한 할미산성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유물 대부분이 6세기 전반 또는 중후반의 것이며 7세기 이후 유물은 거의 출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이는 삼국시대 신라가 한강유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축조한 성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할미산성은 포곡읍 마성리 산41번지 일원에 길이 651m의 테뫼식(봉우리에 테를 두르는 형식)으로 축조됐다. 6~7세기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정과 경로를 밝힐 수 있는 가치가 인정돼 2007년 경기도 기념물 2015호로 지정됐다(지정면적 7만3504㎡ : 문화재 구역 2만6196㎡‧보호구역 4만7398㎡). 
이에 시는 지난 2009년 할미산성 종합정비계획을 세우고 2011~2016년 5차례에 걸쳐  총 19억원을 투입해 1만6550㎡를 발굴조사했다. 

발굴조사 결과 할미산성 내부에서 집터에 해당하는 수혈주거지(竪穴住居址) 63기를 비롯해 원형 수혈유구 42기, 팔각형‧장방형 건물지 9기, 대형 집수시설, 물길이 있는 수구지, 흙바닥 저장공간인 토광 등이 확인됐다. 또  고배(高杯, 높은 잔), 개(蓋, 뚜껑), 철촉, 철부(鐵斧, 도끼), 방추차(紡錘車, 가락바퀴)등 다양한 종류의 신라 시대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대부분의 유물들은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 초기에 해당하는 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할미산성으로부터 서쪽으로 2㎞ 떨어진 보정동 고분군(사적 제500호)의 신라 석실분 조성시기와 일치해 신라가 세력 확장시기에 할미산성 일원을 매우 중요시 한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팔각형 건물지 3기가 할미산성 내부의 중앙부를 따라 배치돼 제의적 기능이 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군사적 기능을 기본으로 행정적 치소의 기능이 있던 한강유역의 다른 산성들과는 차이가 난다. 

또 성벽의 둘레가 651m로 다른 산성에 비해 작지만 수혈주거지 63기와 대형 집수시설 2기 등 유구들이 밀집된 것으로 나타나 지형 상 대규모의 성곽을 세울 수 없었지만 전략적 가치는 높았던 것으로 평가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